존 카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카버는 1620년 메이플라워 호를 타고 플리머스 식민지로 이주한 인물이다. 그는 1620년 11월 메이플라워 서약에 서명하고, 플리머스 식민지의 초대 지사로 선출되었다. 1621년 3월에는 왐파노아그 부족의 마사소이트 추장과 평화 조약을 체결하여 식민지 초기 안정에 기여했다. 카버는 1621년 사망했으며, 윌리엄 브래드퍼드가 그의 뒤를 이어 총독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이플라워호 - 윌리엄 브래드퍼드 (플리머스 지사)
윌리엄 브래드퍼드는 잉글랜드 분리주의자로서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플리머스 식민지를 건설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고, 총독을 역임하며 식민지 발전에 기여했으며, 《플리머스 플랜테이션에 대해》라는 역사서를 저술했다. - 메이플라워호 - 마일스 스탠디시
마일스 스탠디시는 플리머스 식민지의 군사 지도자로서 식민지 방어에 기여했고, 메이플라워 서약에 서명했으며,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우의 서사시를 통해 미국 민속 영웅이 되었지만, 그의 잔혹성으로 인해 유산에 대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 노팅엄셔주 출신 - 고드프리 하운스필드
고드프리 하운스필드는 영국의 전기 엔지니어이자 발명가로, 컴퓨터 단층 촬영(CT) 스캐너를 개발하여 앨런 코르막과 함께 1979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으며, 의료 영상 기술에 혁신을 가져왔고 그의 업적은 CT 값의 단위인 하운스필드 단위(Hounsfield Unit, HU)로 기념되고 있다. - 노팅엄셔주 출신 - 에드먼드 카트라이트
에드먼드 카트라이트는 영국의 성직자이자 발명가로서, 동력 직기를 발명하여 산업 혁명에 기여했으며, 양털 빗는 기계, 로프 제조기, 알코올 기관 등 다양한 기계를 발명했고, 시인으로도 활동했다. - 1576년 출생 - 아사노 요시나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사노 요시나가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무장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근 아사노 나가마사의 아들이며 임진왜란, 세키가하라 전투 등에 참전했고, 세키가하라 전투 후 와카야마 번주가 되었으며 도요토미 가문 몰락 후 암살설이 돌기도 했다. - 1576년 출생 - 정충신
정충신은 임진왜란 때 무관으로 활동을 시작하여 이괄의 난을 진압하는 데 기여했고, 다방면에 능통했으며, 사후 충무의 시호를 받았다.
존 카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플리머스 식민지 총독 |
임기 시작 | 1620년 11월 |
임기 종료 | 1621년 4월 |
후임 | 윌리엄 브래드포드 |
출생일 | 1584년 이전 |
출생지 | 잉글랜드 |
사망일 | 1621년 4월 |
사망지 | 플리머스 식민지 |
매장지 | 콜스 힐 매장지 |
국적 | 잉글랜드 |
배우자 | 매리 드 라누아 (결혼: 1609년, 사망) 캐서린 화이트 (결혼: 1615년경, 사망) |
직업 | 집사 |
직업 | 총독 |
생애 | |
종교 | 청교도 |
서명 | 메이플라워 서약 |
2. 초기 생애와 종교 활동
존 카버의 정확한 출생 연도나 배경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22] 그는 런던에서 부유한 상인으로 활동했으나, 당시 잉글랜드 국교회의 종교적 정책에 반대하는 분리주의자로서 박해를 피해 1607년에서 1608년경 네덜란드 레이던으로 이주했다.[22] 레이던에서 그는 분리주의자 공동체의 일원으로 활동했으며, 이후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주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22]
2. 1. 잉글랜드에서의 삶과 종교적 박해
존 카버의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것으로 추정된다.[22] 그는 런던의 부유한 상인이었으나, 종교적인 이유로 잉글랜드에서의 박해를 피해 1607년에서 1608년경 네덜란드 레이던으로 이주하였다.[22]2. 2. 네덜란드 레이던에서의 생활
잉글랜드에서 종교적 박해를 피해 1607년에서 1608년경 네덜란드 레이던으로 이주했다.[22] 제레미 뱅스에 따르면, 카버와 그의 첫 부인 메리는 1609년 2월 8일 레이던의 왈론 교회 신자였다. 이들은 플랑드르 왈론 공동체와 마찬가지로 종교적 박해를 피해 고국을 떠난 이들이었다.[3][4]카버는 1609년경 레이던에서 약 25세의 나이로 집사로 활동했으며, 이를 통해 그가 1584년 이전에 태어났음을 추정할 수 있다. 같은 해 7월 10일, 성 판크라스 교회의 레이던 기록에 따르면 카버는 자녀 한 명을 묻었으며, 아이가 사망한 직후 그의 아내 메리도 세상을 떠났다.[3][4]
이후 카버는 캐서린 화이트(Katherine White)와 재혼했는데, 정확한 결혼 날짜는 알려지지 않았다. 캐서린은 잉글랜드 노팅엄셔 스터턴 출신으로 알렉산더 화이트의 장녀였으며, 레이던의 잉글랜드 분리주의 교회에서 저명한 인물이었다. 카버는 캐서린과 결혼한 후 레이던 교회 활동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캐서린의 여동생 브리짓과 결혼한 청교도 목사 존 로빈슨과도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5][6] 레이던 분리주의자 공동체에서 카버의 이름이 기록상 처음 등장하는 것은 1615년이다.[22]
1617년, 카버는 미국에 식민지를 건설하려는 필그림(Pilgrims)의 대리인으로 임명되어 토지 임대 및 재정 지원 확보를 담당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22]
3. 신대륙 이주 준비
1617년 존 카버는 미국에 필그림 공동체를 위한 새로운 정착지를 마련하기 위한 준비를 주도하는 대리인 역할을 맡았다. 그는 미국에 식민지를 건설하기 위해 토지 임대와 재정적 지원 확보에 나섰다. 이 과정에서 그는 버지니아 회사와 토지 확보 협상을 진행하고[7], 런던의 상인 그룹인 머천트 어드벤처러 등과 항해 자금 조달을 논의했다.[8] 카버는 자신의 재산을 상당 부분 투자하며 이주 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9], 《메이플라워 호》를 임대하여[8] 실제 항해를 준비했다.[23]
3. 1. 버지니아 회사와의 협상
1617년 존 카버는 로버트 쿠시먼과 함께 런던에서 버지니아 식민지의 토지를 확보하기 위한 협상을 시작했다. 이들의 목표는 필그림들이 새로운 정착지에서 자치권을 누리며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버지니아 회사의 주요 인물이자 교회 장로 윌리엄 브루스터의 지인이었던 에드윈 샌디스 경과 접촉했다.[7]협상 과정에서 카버와 쿠시먼은 잉글랜드 국왕과 영국 교회의 권위를 인정하는 내용을 담은 7개 조항을 버지니아 평의회에 제출해야 했다. 이 조항에는 레이던의 선임 청교도 교회 구성원 전원이 서명했다.[7]
한편, 메이플라워 호 항해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레이던 회중은 항해 투자를 통해 이익을 얻고자 하는 런던의 사업가 토마스 웨스턴과 머천트 어드벤처러 그룹의 지원을 받았다. 카버는 쿠시먼과 함께 항해를 조직하고 웨스턴 및 어드벤처러 측과 자금 지원 협상을 담당했다. 1620년, 그들은 런던 알드게이트에서 웨스턴과 재정 지원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했다.[8] 카버는 상당한 재력가였으며, 이주 계획을 위한 합자회사와 메이플라워호 항해 자체에 자신의 재산을 상당 부분 투자했다.[9]
3. 2. 메이플라워 호 항해 자금 마련
메이플라워 호 항해를 위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레이던 회중은 이익을 목적으로 항해를 지원하는 데 관심이 있는 런던의 사업가들, 즉 토마스 웨스턴과 머천트 어드벤처러에게 의존했다. 존 카버는 로버트 쿠시먼과 함께 항해를 조직하고 웨스턴 및 어드벤처러와 자금 지원을 협상하는 임무를 맡았다. 1620년, 카버와 쿠시먼은 런던 알드게이트에서 웨스턴과 만나 재정 지원에 대해 협상했다.[8]협상의 결과로 웨스턴은 메이플라워 호를 고용했다. 메이플라워 호는 런던에서 사우스햄튼으로 출항하여, 네덜란드 레이던에서 온 순례자들을 태운 스피드웰호와 합류할 예정이었다. 카버는 1620년 6월, 크리스토퍼 마틴과 함께 ''메이플라워''호 항해에 필요한 물품을 구입하기 위해 사우스햄튼에 있었다.[9] 카버는 상당한 재산을 가진 인물이었으며, 합자회사 설립과 메이플라워 호 항해 자체에 자신의 재산을 많이 투자했다.[9]
4. 메이플라워 호 항해와 플리머스 식민지 건설
존 카버는 잉글랜드 출신으로 추정되며,[22] 런던의 부유한 상인이었으나 종교적 박해를 피해 1607년 또는 1608년경 네덜란드 레이던으로 이주했다. 1617년 그는 미국에 필그림 식민지를 건설하기 위한 토지 임대와 재정 지원 확보를 담당하는 대리인이 되었다.[22]
카버는 《메이플라워 호》를 임대하여 1620년 9월, 101명의 다른 개척자들과 함께 잉글랜드 플리머스를 떠나 신대륙으로 향했다.[23] 항해 후 1620년 11월 11일, 배 위에서 플리머스 식민지의 기본법이 된 메이플라워 서약에 서명했으며, 같은 날 식민지의 첫 총독으로 선출되어 1년 임기를 시작했다.[23]
1621년 3월, 카버 총독은 왐파노아그 부족의 대추장 마사소이트와 평화 조약을 체결하여 초기 식민지와 원주민 간의 우호적인 관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24] 그러나 조약 체결 약 한 달 뒤인 1621년 4월 또는 5월경, 들판에서 일하던 중 병을 얻어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그의 뒤를 이어 윌리엄 브래드퍼드가 플리머스 식민지의 총독으로 선출되었다. 오늘날 매사추세츠주 플리머스 서쪽에 위치한 카버 타운은 그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
4. 1. 메이플라워 호 항해
1617년 미국에 식민지를 건설하기 위한 토지 임대와 재정 지원 확보 역할을 맡은 카버는[22] 《메이플라워 호》를 임대하고, 101명의 다른 개척자들과 함께 1620년 9월 잉글랜드의 플리머스를 출발했다.[23] 카버와 그의 아내 캐서린은 하인 5명[5][9][10][11]과 필그림의 보호 아래 보내진 일곱 살의 재스퍼 모어(Jasper More)와 함께 ''메이플라워'' 호에 탑승했다.[12] 카버는 대서양 횡단 기간 동안 ''메이플라워'' 호의 총독으로 선출된 것으로 보인다.[9]
''메이플라워'' 호는 1620년 11월 케이프 코드 해안에 정박했고, 플리머스 식민지의 최초 통치 문서가 된 메이플라워 서약(Mayflower Compact)이 1620년 11월 11일 배 위에서 서명되었다.[13][23] 카버는 이 서약의 저자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최초 서명자였다. 그는 같은 날 플리머스 식민지의 총독으로 선출되어 1년 임기를 시작했다.[14]
4. 2. 메이플라워 서약
메이플라워 호가 1620년 11월 케이프 코드 해안에 정박한 후, 11월 11일 배 위에서 메이플라워 서약이 체결되었다. 이 서약은 플리머스 식민지 통치의 기반이 되는 최초의 문서였다.[13] 존 카버는 이 서약 작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첫 번째로 서명했다. 그는 같은 날 플리머스 식민지의 초대 총독으로 선출되었다.[14]
4. 3. 플리머스 식민지에서의 생활과 왐파노아그 부족과의 관계

플리머스 식민지에서의 첫 겨울은 매우 혹독했다. 식민지 개척자들은 부족한 거주 공간, 괴혈병과 같은 질병, 그리고 메이플라워 호에서의 열악한 환경 때문에 큰 고통을 겪었다.[15] 이로 인해 ''메이플라워'' 호 승객의 거의 절반이 몇 달 사이에 사망했다. 이러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 카버는 식민지를 이끌었다. 뉴잉글랜드에서 작성된 첫 유언장은 윌리엄 멀린스의 것이었는데, 그가 임종을 맞이할 때 카버가 대신 작성해주었다. 이 유언장에는 카버, ''메이플라워'' 호 선장 크리스토퍼 존스, 그리고 배의 외과 의사 자일스 힐이 서명했으며, 이는 카버의 서명이 남아있는 유일한 문서로 알려져 있다.[5]
1621년 3월 22일, 총독 카버는 왐파노아그 부족의 지도자 마사소이트와 만나 평화 및 상호 보호 조약을 체결했다. 이 조약은 이후 반세기가 넘도록 유지되었다.[16][17] 이는 초기 식민지와 원주민 부족 간의 중요한 외교적 성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조약을 맺은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621년 4월 또는 5월경, 카버는 들판에서 일하다 병으로 쓰러져 56세의 나이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 그의 아내 캐서린도 남편이 죽은 지 5~6주 후에 세상을 떠났다.[1][5] 카버의 사망 후 윌리엄 브래드퍼드가 플리머스 식민지의 새로운 총독으로 선출되었다.
5. 사망
1621년 4월 어느 더운 날, 존 카버는 들판에서 일하던 중 머리에 통증을 호소했다. 그는 집으로 돌아와 누웠고, 곧 혼수상태에 빠져 1621년 4월 5일 사망했다.[19][20][21]
그의 뒤를 이어 윌리엄 브래드퍼드가 총독으로 선출되었으나, 당시 브래드퍼드는 병에서 회복 중이었기에 아이작 올러튼이 그의 조력자로 선택되었다.[19][20][21] 겨울 동안 비밀리에 장례를 치렀던 정착민들은 카버 총독의 장례를 최대한의 의식을 갖춰 치르고자 했다. 브래드퍼드는 1621년 4월 기록에서 "그들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식으로, 무기를 소지한 모든 사람들의 일제 사격과 함께 그를 매장했다"고 적었다.[1]
카버의 아내 캐서린은 남편이 사망한 지 5주 또는 6주 후에 세상을 떠났다.[1]
6. 가족 관계
존 카버는 1609년 2월 8일 이전에 메리 드 라누아(Mary de Lannoy프랑스어)와 첫 번째 결혼을 했다.[3] 메리는 프랑스 레클루즈 출신의 위그노였다. 그녀는 1621년 11월 포춘 호를 타고 플리머스에 온 필립 드 라누아(Philippe de Lannoy (Delano)|필립 드 라누아(델라노)영어)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부부는 1609년 7월 10일 레이던의 성 판크라스 교회에 아이를 묻었으며,[4] 메리는 그 직후인 1609년 7월에 사망했다.
그는 1615년 5월 22일 이전에 캐서린 (화이트) 레갓(Katherine (White) Leggett|캐서린 (화이트) 레갓영어)과 두 번째 결혼을 했다. 캐서린은 조지 레갓의 미망인이었다. '메이플라워' 족보학자 로버트 S. 웨이크필드는 그녀의 이름을 캐서린으로 표기하지만, 17세기 문서에서는 캐서린(Katherine영어)이라는 이름이 사용된다. 그녀는 남편 존 카버가 사망한 지 약 5~6주 후인 1621년 5월에 사망했다.[1][5][18] 존과 캐서린 부부는 1617년 11월 11일 레이던의 성 판크라스 교회에 아이를 묻었다.[4]
존 카버에게는 알려진 생존한 후손이 없다.[3]
7. 평가
존 카버는 플리머스 식민지의 초대 지사로서 초기 정착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1620년 11월 11일, 메이플라워 호에서 새로운 공동체의 통치 원칙을 담은 메이플라워 서약에 서명했으며, 같은 날 식민지의 첫 지사로 선출되어 1년 임기를 시작했다.[23] 이는 아메리카 초기 역사에서 자치적인 정부 구성의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는다.
지사로서 카버의 주요 업적 중 하나는 1621년 3월, 왐파노아그 부족의 대추장 마사소이트와 평화 협정을 체결한 것이다.[24] 이 협정은 초기 식민지의 생존과 안정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카버의 지도력과 외교적 노력은 낯선 환경에서 정착민들이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는 지사로 선출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1621년 4월, 들판에서 일하던 중 갑작스럽게 병으로 쓰러져 사망했다.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 윌리엄 브래드퍼드가 후임 지사로 선출되었다. 그의 업적을 기려 매사추세츠주 플리머스 서쪽의 타운 이름이 카버로 명명되었다.
참조
[1]
서적
Plymouth Colony: Its History and People, 1620-1691
Ancestry Publishing
1986
[2]
웹사이트
Pilgrim Hall Museum John Carver
https://web.archive.[...]
2013-04-21
[3]
웹사이트
A genealogical profile of John Carver
https://web.archive.[...]
[4]
서적
Plymouth Colony: Its History and People, 1620–1691
Ancestry Publishing
1986
[5]
서적
The English ancestry and homes of the Pilgrim Fathers who came to Plymouth on the ''Mayflower'' in 1620, the ''Fortune'' in 1621, and the ''Anne'' and the ''Little James'' in 1623
Genealogical Publishing Company
2006
[6]
서적
Making Haste from Babylon: The Mayflower Pilgrims and their New World a History
Knopf
2010
[7]
서적
Mayflower: A Story of Courage, Community and War
Viking
2006
[8]
서적
The English Ancestry and Homes of the Pilgrim Fathers
2006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Mayflower Bastard: A Stranger amongst the Pilgrims
St. Martins Press
2002
[13]
서적
The Mayflower Compact and its signers
Massachusetts Society of ''Mayflower'' Descendants
1920
[14]
서적
[15]
서적
Conceived in Liberty
Arlington House Publishers
[16]
뉴스
Reasons to Celebrate the Pilgrims
http://www.ocregiste[...]
Orange County Register
2010-11-22
[17]
웹사이트
Pilgrims and Wampanoag: The Prudence of Bradford and Massasoit
https://web.archive.[...]
Sail 1620
2010-10-27
[18]
서적
Making Haste from Babylon: The Mayflower Pilgrims and their New World a History
Knopf
2010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Mayflower Bastard: A Stranger amongst the Pilgrims
St. Martins Press
2002
[22]
웹인용
John and Catherine Carver
https://web.archive.[...]
Pilgrim Hall Museum
2010-10-27
[23]
웹인용
Mayflower: The Journey, the People, and the Ship
https://web.archive.[...]
Plimoth Plantation
2010-10-27
[24]
웹인용
Pilgrims and Wampanoag: The Prudence of Bradford and Massasoit
https://web.archive.[...]
Sail 1620
2010-10-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